▲ 금융감독원이 홍콩H지수 연계 ELS 주요 판매사 12곳에 대해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불완전 판매 여부 등을 파악한다. ⓒ 금감원
▲ 금융감독원이 홍콩H지수 연계 ELS 주요 판매사 12곳에 대해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불완전 판매 여부 등을 파악한다. ⓒ 금감원

주요 시중은행에서 판매한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HSCEI)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에서 새해부터 닷새 만에 1000억원이 넘는 원금 손실이 확정됐다. 우려했던 ELS 사태가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손실률 50%를 넘기며 상반기 손실액이 5조원대까지 불어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판매된 홍콩H지수 기초 ELS 상품에서 올해 들어 지난 12일까지 1067억원의 원금 손실이 발생했다.

지난 8일 44억원 규모의 첫 손실이 확정된 이후 불과 닷새 만에 1000억원대로 손실이 불어난 것이다.

이 기간 만기 도래한 원금 2105억원 가운데 절반이 안 되는 1037억원이 고객에게 상환됐다. 

전체 손실액은 1067억 원, 손실률은 50.7%로 집계됐다. 일부 상품에선 최고 52.1% 손실률도 확인됐다.

ELS는 기초자산으로 삼은 지수 등에 연계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데 통상 6개월마다 기초자산 가격을 평가해 조기상환 기회를 준다. 만기 때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준을 밑돌면 통상 하락률만큼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2021년 이후 홍콩H지수가 반토막 나면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져왔는데 올해 들어 손실이 현실화되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손실 규모가 더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5일 기준 홍콩H지수 기초 ELS 총판매 잔액은 19조3000억원으로 전체 잔액의 79.6%인 15조4000억원의 만기가 올해 도래한다. 그 가운데 올해 상반기(10조2천억원)에 만기가 집중돼있다.

원금손실을 피하기 위해선 올해 상반기 홍콩H지수가 2021년 상반기의 65∼70% 수준은 돼야하는데 현재 홍콩H지수 수준이 계속된다면 상반기 손실 규모는 5조원을 넘어설 수도 있다.

상품의 만기 도래와 함께 관련 민원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지난 12일까지 5대 은행에 접수된 홍콩 ELS 관련 민원 건수는 1410건에 달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홍콩H지수 연계 ELS 주요 판매사 12곳에 대해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불완전 판매 여부 등을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