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신한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 신한은행

외환당국과 국민연금 등이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해 4자 협의체를 가동했다.

원·달러 환율이 1470원대까지 치솟자 정부가 자본시장의 큰 손 국민연금을 소방수로 투입해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24일 "기재부·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은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 과정에서의 외환시장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한 첫 회의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4자 협의체에서는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 안정을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원·달러 환율 급등 요인으로 서학개미들의 해외주식 투자 열풍뿐만 아니라 국민연금의 대규모 해외투자에 따른 달러 수요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첫 회의에서는 국민연금의 대규모 해외 투자가 외환시장 수급에 미치는 변동성을 줄이는 방안이 비중 있게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는 국민연금이 할 수 있는 환율 안정 방안으로 △전략적 환헤지 △해외주식 투자 비중 축소 △한은과 국민연금간 외환 스와프 계약 연장 등이 거론된다.

다만 국민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환율 안정 수단에 동원되는 것과 관련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현 정부의 실책으로 인한 외환시장 불안의 책임을 전 국민의 노후에 떠넘기는 꼴"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