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고가 차량 중심 판매 전환에 성공한 현대차가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 1위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25일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연결 기준 작년 매출이 전년 대비 14.4% 증가한 162조6636억원, 영업이익이 54.0% 늘어난 15조126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4년간 부동의 1위였던 삼성전자를 제쳤다는 평가다
같은 기간 기아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1조6078억원으로 전년 대비 60.5% 늘었다. 현대차에 이어 영업이익 2위다.
현대차의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2.4%포인트 오른 9.3%로 집계됐다. 기아의 영업이익률은 11.6%로, 이익률만 놓고 보면 전기차 분야 선도자라고 할 수 있는 미국 테슬라(9.2%)도 제쳤다.
고수익 지역의 판매 비중 확대와 고가 차종, 고사양 트림 판매 비중 확대가 역대 최대 실적을 이끌었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의 판매량이 급증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미국에서 전년 대비 12.1% 증가한 165만2821대를 판매하며 현지 진출 이래 사상 최고 기록을 썼다.
친환경차 판매 호조도 실적에 한몫했다. 현대차의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37.2% 늘어난 69만5382대를 기록했다. 기아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57만6000대로 전년 대비 18.2% 증가했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판매 목표를 744만대(현대차 424만대·기아 320만대)로 잡았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현대차가 4~5% 성장, 8~9% 달성을 목표로 세웠고, 기아는 각각 1.3%, 3.4%를 목표로 삼았다.
현대차 관계자는 "글로벌 수요 위축, 경쟁 심화 등 부정적 경영 요건을 고려해 보수적으로 목표를 설정했다"며 "향후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 친환경차가 높은 성장을 계속할 것으로 보고 투자는 지속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미등기' 대기업 총수 4명 보수 356억원 … 등기 대표 두 배
- 현대카드, 나이스신용평가 장기신용등급 전망 'AA(긍정적)'로 상향
- 포스코DX, 2023년 영업이익 1106억 … 전년 대비 71%↑
- 올해 첫 공모주 우진엔텍, 코스닥 상장 첫날 '따따블'
- 엔씨소프트, 주가·실적 부진에 조직 개편 … 가족경영 정리
- 테슬라 수익성 다른 기업과 '비슷'한 수준 … 시가총액 277조원 '증발'
- 특허청, 엘엔에프 지식재산권 현안 논의 … "이차전지 초격차 확보 지원"
- 신형 삼성 Neo QLED·OLED, '탄소저감' 글로벌 인증 획득
- 그래도 '대세'는 … 자동차 업계 신형 전기차 잇따라 출시
- 환경부, 전기차 보조금 30만원 줄인다 … 고효율 배터리는 지원 확대
- 환경부, 올해 전기차 보조금 확정 … 아이오닉6 690만원, 테슬라 모델Y 195만원
- 삼성전자,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손잡고 6G 기술 주도한다
- 현대차 아이오닉5N, 독일·영국 평가서 '최고성능 전기차'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