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 저평가주로 불리던 삼성생명의 최근 주가 상승세가 가파르다.
8일 유가증권시장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실망감으로 주가순자산비율(저PBR주)이 감소했지만 주가는 주주환원책 기대감에 상승하고 있다.
최근 호실적이 기초체력(펀더멘털) 개선보다 새 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효과가 적지 않아 상승세가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삼성생명 주가는 장중 10만8500원까지 오르며 한 해 최고가를 기록했다. 10만8000선을 넘긴 것은 2018년 6월 이후 5년 9개월 만이다. 지난 1월 19일 장중 6만원에서 두 달도 안 돼 80.8% 올랐다.
올해 초 이후 삼성생명의 주가 상승률은 52.1%로 코스피200 지수 종목 가운데 3번째로 높다.
삼성생명 주가가 올해 초 들어 급등한 데는 밸류업 프로그램 덕이 컸다. 저성장 저평가 주식으로 불리는 보험주는 대표적인 저PBR 수혜주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보험사로 구성된 KRX보험 지수는 올해 초부터 지난달 23일까지 20.53% 올랐다. 삼성생명은 같은 기간 38.35% 상승했다.
정부가 내놓은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안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지난달 26일 이후 KRX보험 지수 상승률은 0.08%에 그쳤다. 하지만 삼성생명은 이후로도 주가가 9.94% 오르며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삼성생명 주가가 유독 고공행진을 펴는 것은 외국인 투자가를 중심으로 주주환원 정책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계열사이자 대주주인 삼성물산이 최근 전체 자사주의 3분의 1에 달하는 1조원어치를 3년에 걸쳐 소각한다고 밝히면서 삼성생명에도 기대감이 커졌다.
삼성생명도 지난달 콘퍼런스콜에서 자기자본이익률 개선, 자사주 소각 검토를 약속하며 주주환원 확대를 알렸다.
삼성생명의 주주환원 여력이 충분한 것도 영향을 줬다. 자사주 비율이 10.2%로 높고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1조8953억원으로 전년 대비 19.7% 증가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보인 것도 호재로 꼽힌다.
이어 호실적이 지난해 새로 도입된 회계기준(IFRS17)에 크게 영향을 받은 만큼 장기적으로 성장세가 이어지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IFRS17은 보험사의 부채를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는데 고금리 시기엔 할인율이 높아져 부채가 줄고 자본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삼성생명의 주주환원책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특징주] 삼성생명, 호실적 발표 후 '52주 신고가'
- 주주총회 앞두고 삼성물산 등 상장사 공격하는 행동주의 펀드
- 외국인 저 PBR 매수 열풍 … "투자 과열 주의보"
- 삼성물산, 연 100만톤 오만 그린암모니아 사업권 확보했다
- 비트코인 1억은 '포모' 때문? … 한국 거래량 세계 2위
- OK저축은행, DGB금융 '최대주주'에 오르다
- '역대급 실적' 보험사 임직원 연봉, 은행 넘었다
- 이재용 회장 동생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으로 '경영 복귀'
- 코스피 지난해 영업이익 24% 감소 … 삼성전자 부진 영향
- 내년 상반기부터 출퇴근시간 주식거래 가능해진다 ··· '넥스트레이드' 출범
- 삼성생명, 업그레이드 '더헬스' 수면 분석 서비스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