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차세대 AI 스크린 기술을 공개했다. 두 기업은 각각 삼성비전 AI와 LG 공감지능을 통해 AI 스크린과 라이프스타일의 융합을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삼성 퍼스트 룩 2025에서 비전 AI를 공개하며 "AI 스크린이 사용자 맞춤형 동반자가 될 것"을 강조했다.
비전 AI는 사용자의 취향과 니즈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실시간 번역, 생성형 배경화면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시청 경험을 혁신한다.
삼성은 NQ8 AI 3세대 프로세서를 탑재한 'Neo QLED 8K'를 공개하며 저화질 콘텐츠를 고화질로 변환하는 8K AI 업스케일링 Pro기술과 몰입형 3D 오디오(Eclipsa Audio)를 선보였다.
특히 삼성은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파트너십을 통해 스마트 모니터와 TV에 '코파일럿' 등 AI 서비스를 통합할 계획이다. 초대형 스크린 수요 증가에 발맞춰 115형 Neo QLED 모델까지 확장하며 TV 시장 1위 자리를 굳혔다.
LG전자는 CES 2025에서 공감지능 기반 AI 홈 기술을 선보였다. LG의 AI는 집‧차량‧사무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IoT 기기와 연동해 최적의 생활 환경을 제공한다.
ThinQ ON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과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독자 보안 시스템 LG 쉴드로 데이터 보호를 강화했다.
LG는 차량 내 AI 활용을 확대한 MX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운전자의 시선 추적, 실시간 번역 등 안전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를 맞춤형 거주 공간으로 변환한다.
또 LG는 세계 최초의 무선‧투명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와 투명 샹들리에 디스플레이도 공개했다.
삼성과 LG 모두 AI를 중심으로 미래 스크린의 방향성을 제시했지만, 접근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삼성은 개인 맞춤형 기능과 초대형 스크린으로 시청 경험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고, LG는 공감지능을 통해 다양한 생활 공간과 모빌리티까지 연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은 "AI시대에 TV는 사람들의 취향과 니즈를 알아서 맞춰주는 인터랙티브한 역할"이라며 "단순 시청 기기를 넘어선 생활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성별과 나이,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고객이 LG전자의 가전을 손쉽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AI 가전 '구독 서비스' 출시
- 삼성전자 AI TV 앞세워 '고객만족도 1위'
- LG 세계 최초 투명TV '올레드 T' 출시
- LG, 운전자 안전 증대하는 '공감지능 AI' 도입
- 청소년 488명의 '키다리아저씨' LGU+
- 삼성 '갤럭시 북5 시리즈' AI 팝업스토어 연다
- 삼성전자 중고 갤럭시폰 '간편보상' 실시
- '수면관리' 돕는 갤럭시링 신규 사이즈 출시
- 삼성 'AI 전자칠판' 디지털 교육혁신 나선다
- LG전자 '사이언스 파크' 연구동 증설 '1만명 싱크탱크' 가동
- 삼성전자 'AI 구독클럽' PC·태블릿 추가
- LG전자 '트루스팀' 적용한 신형 워시콤보 출시
- LG전자, 북미 '매그니트' 스튜디오 오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