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는 다음달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참가해 최첨단 AI기술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MWC 2025에 참가해 AI기반 통신 인프라 진화 방향을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전시에선 통신 네트워크가 AI 추론과 통신서비스를 동시에 구현하는 방식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AI 기지국' 개념을 소개하며 기지국 장비에 GPU·다양한 칩셋을 적용해 AI서비스와 통신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을 선보인다.
이어 거대언어모델(LLM)과 소형언어모델(SLM)의 최적 조합을 위한 AI라우팅 기술과 복잡한 이동통신 설비를 최적 제어하는 AI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도 공개한다.
또 통신 특화 LLM을 기반으로 고객 요금제 안내·변경 요청을 정확히 처리하는 텔코 AI에이전트를 선보이며, 기존 인프라 변경없이 유연한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컨버지(Converge)·커넥트(Connect)·크리에이트(Create)'를 주제로 AI기술력을 선보인다. 특히 보안 강화를 핵심 가치로 내세워 AI에이전트, 협업사례, AI기반 미래 기술을 소개할 예정이다.
주요 전시 기술로는 △AI모델 익시젠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한 PQC(양자내성암호) △보이스피싱 방지 안티딥보이스 △영상 분석 솔루션 '익시 비전' 등이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통해 글로벌 고객·협력사들과의 협력을 강화, AI기반 보안 기술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KT는 'K-STREET(길거리)' 콘셉트를 내세워 K-컬처와 AI 기술을 접목한 7개 테마 공간을 마련한다. 전시관은 △오피스 △스타디움 △랩 △하우스 △스테이션 △K-POP 스테이지 △포차 등 7개 공간으로 구성된다.
또한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한국형 AI를 선보일 예정이며 △무선 시장 경쟁 분석 △GPU 할당 최적화 △탄소 배출 모니터링 △AI기반 고객 상담사 지식 추천 등의 기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