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이 세계 최대 소화기 학술 행사인 2025 소화기질환 주간(DDW)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의 최신 연구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행사는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렸으며, 대웅제약은 학술 부스 운영과 '펙수클루의 밤' 심포지엄을 통해 전 세계 의료진에게 펙수클루의 우수성을 알렸다.
펙수클루는 빠른 약효 발현, 주야간 증상 개선,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1일 1회 복용 등의 장점으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올해 DDW에서 5건의 신규 데이터가 공개돼, 국내 P-CAB 계열 치료제 가운데 가장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신규 연구로는 △NSAIDs 유발 소화성궤양 예방 효과 입증 연구 △인도 환자 대상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EE) 치료에 대한 3상 연구 △알츠하이머 관련 저위험 기전 연구 △야간 위산 분비 증상 개선 평가 연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유래 위염 모델에서의 항염증·항산화 효과 연구 등이 소개됐다.
심포지엄에는 미국, 한국, 칠레, 멕시코의 석학들이 펙수클루의 약물적 우수성과 글로벌 적용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마이클 배지 미국 밴더빌트대 메디컬센터 교수는 펙스클루가 기존 PPI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옵션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도훈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펙수클루의 분자 구조적 차별성과 긴 반감기를 강조하며 빠른 증상 완화 효과를 소개했다.
아놀드 리켈메 칠레 가톨릭의대 교수는 H.pylori 제균요법에서 96%의 제균율을 기록한 연구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호세 마리아 레메스 트로체 멕시코 베라크루스대 의생명과학연구소장은 비미란성 역류 질환(NERD) 환자에게도 효과적인 치료제로 펙수클루를 소개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펙수클루의 탁월한 증상 완화, 긴 반감기를 통한 지속적인 산 분비 억제, 폭넓은 치료 효과를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었다"며 "펙수클루가 글로벌 치료 현장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효과적인 옵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