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부동산펀드 투자자들이 세계적인 상업용 부동산 시장 침체로 대규모 손실 위험에 노출되자 국내 은행 등 판매사에 불완전판매 책임을 물었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투자금을 모아 해외 상업용 부동산을 매입하거나 지분을 취득해 임대료 수익으로 배당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해외부동산 펀드 260개의 67%인 175개가 손실을 보이면서 제2의 홍콩발 주가연계증권(ELS) 사태가 벌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말 기준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 우려 규모를 2조2100억원가량으로 추정했다.
2017년부터 4년간 저금리 시기로 호황을 맞았던 펀드 상품들의 만기일이 차례로 돌아오면서 투자 손실이 눈앞에 다가온 투자자들의 의혹제기가 빗발치고 있다.
최근 A씨는 2017년 신한은행에서 가입한 50억원 규모 펀드 관련 금융감독원에 은행의 불완전판매 의혹을 제기했다.
펀드 가입 당시 계약서상의 100% 원금 손실과 같은 민감 항목을 자신이 아닌 은행 직원이 대리 서명했다는 주장이다.
또다른 투자자 B씨도 지난 4월 펀드 가입 당시 은행으로부터 구체적인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분쟁조정 절차를 밟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개별 불완전판매 의혹이 분쟁조정 등을 거쳐 사실로 확인된다면 판매사 책임이지만 불완전판매를 명분삼아 모든 투자자의 손실을 배상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임수현 기자
sswuhy@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