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진으로 위기에 놓인 저축은행에 대해 금융당국이 현장 점검에 나선다.
2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1분기 말 기준 연체율 관리계획이 미진한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연체율 관리 현장 점검을 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올해 1분기 말 연체율을 확인하고 지난주 저축은행에 연체율 관리계획을 제출하도록 했다. 이 가운데 계획이 미진한 업체를 대상으로 직접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6.55%로 전년 대비 3.14%포인트(p) 올라 2011년 저축은행 사태(5.8%p)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으며 올해 1분기 연체율도 작년 말보다 상승했다.
금감원은 부동산 PF 사업장 경·공매 활성화 방안과 개인사업자 연체채권 매각 현황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저축은행 등 대주단은 낙찰 가격이 낮게 형성될 경우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PF 사업장 경·공매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많았던 만큼 PF 재구조화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저축은행업권 자산 순위 6위인 페퍼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부정적)로 기존 등급 BBB(부정적)보다 낮아졌다.
중·소형 저축은행으로 꼽히는 바로저축은행 신용등급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낮아졌다. 저축은행이 퇴직연금을 운용하려면 신용등급 BBB 이상을 받아야 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건전성이 우려되는 10여곳 저축은행에 재무구조 관리 방안 등을 담은 자본확충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며 "악화될 수 있는 업황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미리 세우려는 취지"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