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여성의 난소 기능저하로 급격히 감소하는 호르몬을 보충하는 호르몬 치료는 갱년기 증상인 월경중단, 안면홍조,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기분변화, 수면장애 등을 완화하고 여성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런 장점에도 약물 복용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호르몬 치료가 유방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어 많은 여성들이 호르몬 치료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연구팀이 폐경 여성의 약물 호르몬 치료를 대체할 세포 기반 인공 난소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에는 분당서울대병원 이정렬 산부인과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이강원 교수·양충모 박사, 서울의대 양희선 박사과정 등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SCIE 국제의학학술지인 'Biomaterials Research'(IF 8.1)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난소에서 호르몬을 생성하는 세포를 분리해 최소침습 방식으로 주입하는 미세 크기의 난소 세포 하이드로겔 구조체를 제작했다. 이는 난소와 유사한 구조로 세포끼리 상호작용하며 호르몬을 스스로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교수팀은 90일간 체외 배양에서 세포 기반 인공 난소가 난소 호르몬을 성공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이를 폐경 쥐 모델에 주사 주입하고 대조군(난소유지, 난소절제, 호르몬 약물치료군)과 비교했다.
그 결과 인공 난소를 주입한 쥐 그룹은 여성 호르몬 수치가 증가됐다. 또 체중증가·골다공증 등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이 호전됐다. 특히 호르몬 치료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꼽히는 유방암의 위험성이 낮아졌다.
유방암을 야기할 수 있는 유방조직 과형성이 발생하지 않았고 유방암 관련 표지자들의 발현도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생체재료를 활용해 주사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인공 난소를 개발했다는 것은 향후 폐경기 여성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호르몬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정렬 교수는 "세포 기반 인공 난소는 체내의 호르몬 자가조절 기전에 의해 조절·분배되기에 약물로 대체하는 호르몬 치료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며 "연구는 향후 임상적용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