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AMAT)와 램리서치가 공급망에서 중국 업체를 배제하기로 했다. 중국 리스크를 없애려는 미국 정부의 규제에 따른 조치다.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AMAT와 램리서치가 최근 자사 공급업체들에 '중국산 부품을 대체하지 않으면 공급업체 지위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공급업체들은 중국인 투자자∙주주를 유치하면 안 된다는 통보도 받았다.
미국 뉴욕주에 있는 반도체 처리 시스템 개발사 비코도 공급업체에 중국산 부품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내년 말까지 기존 중국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끊으라는 지침을 서면으로 보냈다.
이는 첨단 반도체와 장비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개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정부는 2022년 10월 중국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을 금지한 뒤 제재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미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가 중국 공급업체에 기술 세부 사항∙계획을 공유하려면 라이선스를 취득하도록 하는 규정을 도입하고 내년까지 임시 라이선스를 부여했다.
지난달 말 미국 정부는 첨단 반도체, 양자컴퓨터, 인공지능 등에서 미국 자본의 대중국 투자를 차단하는 투자 제한 규칙을 발표하기도 했다. 미∙중 디커플링(decoupling∙분리)을 강화하려는 의도다.
중국 선양포천정밀장비는 AMAT에 납품하기 위해 올해 싱가포르 공장을 설립했지만, 아직 공급 승인을 받지 못했다. 다른 중국 업체들은 제3국에 합작회사를 세우는 방식으로 규제 우회 방안을 찾고 있다.
중국을 완전히 공급망에서 배제하면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비슷한 가격에 대체 부품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의 대중 제재에 대한 반작용으로 중국에서 미국 기업이나 기술을 배제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에서는 애플 제품의 사용을 자제를 권하는 등 애국 소비 성향이 강화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