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나영 소화기내과 교수와 임선희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교수 연구팀이 40대 미만 여성 위암 조기 진단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 분당서울대병원
▲ 김나영 소화기내과 교수와 임선희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교수 연구팀이 40대 미만 여성 위암 조기 진단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소화기내과 교수·임선희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교수 연구팀이 혈액검사를 기반으로 젊은 여성의 미만형 위암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검진 현장에서 쉽게 확인 가능한 혈액검사 기반 펩시노겐2 수치가 위암 환자 선별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펩시노겐2는 위 점막에 분비되는 단백질이다. 위에 염증 등이 생기면 수치가 올라간다.

연구는 2003년~2022년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건강검진자 2만3000여 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펩시노겐2 수치 기준치 이상·헬리코박터균 감염·이력 환자가 조기 미만형 위암 발생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조건이 모두 충족된 환자군에서 위암 선별력이 높게 나타났다.

40세 미만 여성은 위험도가 일반인 대비 최대 25.8배까지 상승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혈액검사를 활용한 정밀검진이 도입되면 위암 조기 발견률을 높이고 검진 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나영 교수는 "미만형 위암이 많이 발생하는 40세 미만 여성 등 현행 국가암검진 체계에서 놓치기 쉬운 대상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혈액검사로 고위험군을 선별해 내시경을 진행하면 검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종양학·암 예방 분야 국제학술지 Canc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