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CEO 타운홀미팅에서 직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포스코그룹

포스코그룹이 오는 2030년에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원의 소재분야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했다.

포스코그룹은 포항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CEO 타운홀미팅을 열었다고 2일 밝혔다.

CEO 타운홀미팅은 100명의 포스코그룹사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과의 질의응답식으로 진행됐다.

장 회장은 7대 미래혁신 과제의 중간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2030 소재 분야 글로벌 최고 기업가치 달성'을 그룹의 미래 비전으로 제시했다.

우선 철강분야에선 제조원가를 개선하고 판매와 구매 경쟁력을 높여 2300억원의 원가절감과 수익창출효과를 거뒀다. 특히 원료비 저감기술 확대와 부생가스 회수 증대를 통한 발전효율이 높아졌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에선 △기존 공정의 생산성 향상 △원료 수급과 판매처 다변화 등 그룹 전체 밸류체인의 질적 개선안을 도출했다. 또한 칠레와 아르헨티나 등 남미 염호와 북미·호주의 광산·자원회사와 협업 등의 투자방안도 확정했다.

장 회장은 신소재 분야를 그룹의 또다른 성장축으로 바라보고 2030년에 해당 분야에서 5조 이상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도록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친환경에너지와 신모빌리티 등 그룹 사업 연계뿐 아니라 항공과 우주 등 미래산업에 적용될 첨단소재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산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장 회장은 지배구조와 기업문화 혁신도 강조했다. 그는 거버넌스 혁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독립적이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구축하고 CEO후보군의 체계적 육성 프로그램을 만들어 국내와 글로벌 기업에게 롤모델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그룹 사업, 경영체제와 조직문화 전반에 걸쳐 본원경쟁력과 신뢰를 회복하겠다"며 "한계를 넘어 과감히 혁신하고 미래를 향해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