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가 유럽연합(EU) 수출 기업들을 위해 디지털 탄소 여권(Digital Carbon Passport)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해 EU 탄소 규제에 빠르게 대응하는 패스트 트랙을 마련한다.
SK는 2일 글래스돔과 개발한 플랫폼을 통해 EU 디지털 배터리 여권(DBP, Digital Battery Passport)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로이드인증원(LRQA)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제품 전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하고 공유하는 디지털 배터리 여권 제도를 도입한다.
특히 EU는 국제 표준 ISO 14067를 바탕으로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대해 제3자 검증을 받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로이드인증원은 EU가 인정한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 Emissions Trading Scheme) 검증 공인 기관 가운데 하나로 현재 국제 표준 인증과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국제 표준 ISO 14067에 따라 탄소 배출량 리포트를 자동 생성할 뿐만 아니라 원료 채취부터 제조, 사용, 폐기까지 제품 전 주기에 걸쳐 환경 영향을 정량화하고 평가하는 데이터 추출을 지원한다.
SK는 유럽 국가들에서 디지털 배터리 여권 데이터 제출을 요구하는 상황에 맞춰 데이터 검증에 상당한 시간을 들이고 있는 배터리 산업 고객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SK는 배터리 분야에서 시작해 철강, 알루미늄 기업 등 EU 수출 규제 대상 산업으로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신속히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방수인 SK C&C Digital ESG그룹장은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은 국내 수출 기업들이 EU 시장으로 빠르게 진출하기 위한 패스트 트랙이 될 것이다" 며 "우리나라 수출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디지털 ESG 경쟁력을 갖추어 규제 대응 뿐만 아니라 수출 시장 개척에 유리한 고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