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과 모빈이 개발한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있다. ⓒ 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상용화를 통해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 조성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현대차그룹 스타트업 모빈과 개발한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배송 서비스(D2D)를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 첫 적용하고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D2D 서비스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무선통신·관제시스템 연동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무인 승하차 기능까지 탑재돼 건물 전 구간 이동이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단독형 타운하우스 힐스테이트 라피아노 삼송 입주민을 대상으로 D2D 서비스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또 현대엘리베이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지능형 기술 적용을 통한 서비스 상용화를 본격 선언했다.

D2D 서비스는 로봇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무인 자동 콜 기능과 엘리베이터 정원 초과범위 판단 기능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기술을 탑재했다.

모빈이 개발한 자율주행 배송 로봇은 이동에 제약이 없는 기술을 적용해 택배나 음식 배달, 순찰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자체 개발한 특수 고무바퀴 구조는 계단 등 장애물 극복이 용이하고 적재함 수평 유지 기능을 탑재해 적재물의 안전성까지 확보했다.

3D 라이다와 카메라를 장착해 주변 지형·사물을 인식하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유휴시간 순찰모드 기능이 탑재돼 보행자 안전에 특화된 자율주행까지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D2D 서비스를 서울 용산 한남4구역에 적용해 로봇 친화형 주거단지 조성 계획을 제안했다.

현대건설은 미래 주거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다양한 스마트 기술 서비스를 적용해 입주민에게 차원 높은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로봇 친화형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 기술과 서비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차별화된 주거문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