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이 최대 1조원 수준으로 평가받는 건축자재사업부 매각을 추진한다.
최근 회사채 기한이익상실(EOD) 사유 발생 등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지자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비핵심 사업을 구분해 매각하는 카브아웃(Carve-out) 거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롯데케미칼이 국내 주요 IB를 통해 원매자들과 첩촉하며 건축자재사업부 매각을 타진한 것으로 파악했다.
국내외 사모투자펀드(PEF)와 전략적투자자(SI)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B업계 관계자는 "재무적 어려움에 처한 롯데케미칼이 화학업종과 크게 관련 없으면서도 시장에 팔릴 만한 사업부를 분리해 매물을 내놨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건자재사업부 최근 연간 매출을 4000억원, 상각전영업이익(EBITDA)는 800억원으로 파악했다.
하지만 시장에서 건자재 업체 가치를 통상 EBITDA 10배 수준으로 평가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해당 사업부 매각가는 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IB업계에서는 금리 인하 전망에 주택경기가 살아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회사 측이 건자재사업부 가치를 최대 1조원 가까이도 기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각국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되고 건설경기가 살아나면 건자재사업은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업종"이라며 "물가 상승분이 건축자재에 반영된다는 점 등 투자처로서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기존 사업 효율화도 진행하고 있다. 실적 악화 우려로 전남 여수 공장 일부가동을 중단한다.
이유찬 기자
reasonch0802@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