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 ⓒ 의원실
▲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 ⓒ 의원실

은행원 본인과 친인척이 해당 은행으로부터 부적절하게 대출을 밭은 부당대출이 문제로 대두됐지만 시스템 관리가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의 가족과 친인척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전산시스템을 구축한 곳은 5대 시중은행 중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뿐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정무위·대구서구)이 22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본인과 친인척에 관해 전산상으로 관리·통제 시스템을 갖춘 곳은 신한은행, 하나은행, iM뱅크, 부산·경남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Sh수협은행뿐이었다.

이 시스템을 갖춘 은행의 은행원은 자신이 등록한 가족과 친인척이 어떤 대출을 받고, 예·적금에 가입했는지 전산 조회를 아예 할 수 없다.

5대 은행 가운데 KB국민·우리·NH농협은행은 이보다 낮은 단계인 가족 대출 발생 시 알림만 팝업창 형태로 송출하는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김 의원이 최근 5년간 셀프대출 사고 현황을 보고받은 결과, 알림 송출 방식을 쓰고 있는 은행 위주로 부당 대출 사고가 났다.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집계한 결과 KB국민은행과 부산은행에서 각각 3건, NH농협은행 2건, IBK기업은행 1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은행의 사고는 2021년과 2022년 1월에 발생했고, 같은 해 9월 강화된 전산통제 방식을 도입한 이후엔 발생하지 않았다.

김상훈 의원은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가족 데이터베이스를 등록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