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열기가 강남3구와 용산 등을 넘어 외곽인 성북·노원·금천까지 확산되고 있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성북구 상승거래 비중은 46.8%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42.3%) 대비 4.5% 높은 수치다.
노원구 상승거래 비중도 44.5%로 전월보다 4.5%포인트 증가했으며 금천구 역시 상승거래가 지난 4월 44.7%에서 지난달 46.3%로 늘었다.
같은기간 서울 전체 상승거래 폭은 47.3%에서 47.9%로 0.6% 증가에 그쳐 성북·노원·금천구 상승거래 증가폭이 서울 평균치를 앞질렀다.
해당지의 거래 역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성북구와 노원구의 거래량은 258건과 338건으로 전월대비(성북 295건·노원 381건) 87∼88% 수준이지만, 실거래 신고가 격월에 걸쳐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전월 거래량을 크게 앞지를 전망이다.
특히 최고가 거래도 포착돼 눈길을 끈다. 지난달 15일 성북구 장위 자이레디언트 전용면적 84㎡는 14억4750만원에 거래돼 역대최고가를 갱신했다.
금천구도 지난달 거래량이 45건으로 전월대비(55건) 81% 규모지만 이달 말 최종집계되는 5월 거래량은 전월 수준을 웃돌 전망이다.
이같은 외곽지역 상승거래는 다음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RS)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실수요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선 점이 주요했다고 평가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성북·노원·금천구는 실수요 움직임에 따라 가격변동이 나타나는 지역"이라며 "실수요자들이 7월 DSR 3단계 시행에 따른 대출한도 축소상황 등을 염두에 두고 접근 가능한 가격대에서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