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대통령실
▲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정부가 26조원 금융지원·세액공제 연장이 담긴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책을 내놨다.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열린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지난 9일 거시경제·금융시장 현안을 논의한 1차 경제이슈점검회의에 이어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관련 현안,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지난달 9일 반도체 현안 점검 회의 이후 관계부처 논의를 거쳐 금융, 인프라, 연구개발, 중소·중견기업 지원까지 담긴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먼저 17조원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해 반도체 기업의 대규모 설비투자를 지원하고 올해 일몰되는 투자세액공제를 연장한다.

1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하고 유망 팹리스와 소부장 기업들의 세계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

미니팹 등 기업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도 기업이 원하는 수준으로 신속하게 확충한다.

윤 대통령은 이날 문제를 해결하는 속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차질이 없도록 전기·용수·도로 등 인프라를 빠르게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반도체 산업 지원이 대기업 감세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사실이 아니라며 지원프로그램의 70% 이상은 중소·중견기업이 혜택을 보게 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 지원으로 기업 투자가 확대되고 수익이 늘어나면 국민은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누릴 수 있어 반도체가 곧 민생"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 반도체가 세계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지만 우리 팹리스 업계의 시장 점유율은 1% 수준"이라며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처 간, 부서 간 벽을 허물고 총력을 다해주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