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을 위해 KAIST 연구진이 휠체어에서 내릴 필요 없이 바로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하반신마비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의 새로운 버전 워크온슈트 F1을 24일 공개했다.
워크온슈트는 KAIST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 연구팀이 2015년부터 연구해 온 척수손상의 정도가 완전마비 등급(ASIA-A)인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이다.
연구팀은 2016년 워크온슈트 1 버전 개발 후 2020년 4 버전을 발표하며 보행속도를 비장애인 수준인 시속 3.2km까지 달성했다. 그러나 이 로봇들은 다른 웨어러블 로봇들처럼 다른 사람의 도움이 있어야 착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워크온슈트 F1은 타인의 도움 없이 로봇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전면 착용 방식으로 설계됐다. 로봇이 휴머노이드처럼 스스로 걸어와 착용자에게 착용된다.
무게중심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착용자가 잘못해서 밀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도 구현됐다.
엔젤로보틱스와 협업해 모터·감속기·모터드라이버·메인 회로 등 주요 부품을 전부 국산화했다. 모터와 감속기 모듈의 출력밀도는 기존 기술에 비해 2배, 모터드라이버의 제어 성능은 해외 기술 대비 3배 향상됐다.
공경철 교수는 "워크온슈트는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기술의 결정체"라며 "워크온슈트에서 파생된 수많은 부품, 제어, 모듈 기술들이 웨어러블 로봇 산업 전체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다영 기자
park020331@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