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만 한 학기 900만원 불구 기본금 50% 인상
일부 반발에 공지 후 삭제 … "절차·이유 공개해야"

▲송도국제도시 인천글로벌캠퍼스 전경.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인천시 경제자유구역청(IFEZA)이 함께 추진하는 해외 우수대학 국내 유치사업에 초빙되어 2014년 9월 개교했다.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송도국제도시 인천글로벌캠퍼스 전경.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는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인천시 경제자유구역청(IFEZA)이 함께 추진하는 해외 우수대학 국내 유치사업에 초빙되어 2014년 9월 개교했다.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겐트대 글로벌캠퍼스(GUGC)가 내년부터 학사 기본금을 2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올리겠다는 안내를 올렸다가 삭제하면서 재학생들이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아 집단 반발하고 있다.

한 학기 등록금만 900만원에 달하는 데다 기본금을 단번에 50% 인상하는 결정이라는 점에서 학생들의 반발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18일 언론사 통합 제보 플랫폼 제보팀장경제신문 세이프머니 취재를 종합하면, 겐트대는 최근 홈페이지에 학사 기본금 100만원 인상안을 게시했다가 논란이 일자 글을 삭제했다.

학생회는 인상안의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 △회의록 △재정 자료 △인상분 사용계획 △신입생 적용 여부 등을 학교 측에 공식 요청했지만 어느 항목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학생회는 "학교가 약속한 답변 날짜를 지키지 않았고 재무 부서를 직접 찾아갔지만 공식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학생회 건의를 더는 받지 않겠다는 취지의 언급까지 있었다"고 밝혔다.

재학생 A씨는 "한 학기에 900만원을 내고 있는데 기본금을 50%나 올리겠다는 건 학생을 수익 모델로만 보는 결정"이라며 "대부분 한국 국적인 학생들이 국가장학금 혜택도 받기 어렵다. 인상 이유조차 설명하지 않는 방식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학생회는 설문조사를 진행하며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겐트대는 제보팀장의 질의에 "향후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며 절차 공개 의지를 밝혔다.

또 이번 인상 결정은 "물가 상승으로 인한 재정 부담 완화와 캠퍼스 운영·교육의 질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겐트대는 "2014년 개교 이후 11년간 등록금을 한 번도 인상하지 않았고 해외 대학 캠퍼스들과 달리 모든 납부 절차를 원화로 진행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상안이) 2024년 6월 캠퍼스위원회에 공식 상정됐고 매달 학생 대표가 참석했다"며 학칙과 관계 법령에 따른 절차였다고 해명했다.

다만 재학생들이 요구한 회의록·재정자료의 공개 범위에 대해선 "민감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적절한 공개 수준을 학생 대표에게만 공유했다"고 밝혔다.

겐트대는 외국교육기관 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는 공개하지만 세부 회의록이나 재정 자료까지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 제기된 '학생회 이메일 계정 차단' 의혹에 대해서도 학교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겐트대는 "해당 계정은 벨기에 본교 서버를 통해 운영되며 일시적 오류가 발생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 제기 후 하루 안에 해결됐고, 계정 접근을 제한한 사실은 없다"고 강조했다.

학교는 "홈페이지, 뉴스레터, SNS 등 여러 채널을 통해 학생·학부모 의견을 들을 것"이라며 "앞으로 절차를 투명하게 공지하겠다"고 밝혔다.

겐트대 글로벌캠퍼스는 벨기에 공립 연구중심대학인 겐트대학교가 2014년 인천 송도에 설립한 국내 유일 유럽 대학 캠퍼스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