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현대차·LG 등 주요 대기업이 미래성장동력 확보와 대미 투자 증가에 따른 내수 위축을 막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에 나섰다.
16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한미 관세협상 후속 대책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협상 과정에 대해 "매우 어려운 과정이었지만 남들이 예상하지 못한 성과를 거뒀다"며 "방어를 아주 잘 해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걱정되는 측면들이 있다. 혹시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것"이라며 "그런 걱정을 하지 않도록 여러분이 잘 조치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재계 총수들은 대규모 국내 투자와 고용 계획을 약속했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국내 산업투자와 관련한 우려가 일부 있겠지만 그런 일이 없게 하겠다"며 "지난 9월 약속한 대로 향후 5년간 매년 6만명씩을 국내에서 고용하고, 연구개발(R&D)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도 더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또 향후 5년간 국내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총 4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지만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매년 8000명 이상의 채용을 꾸준히 유지했는데 2025년까지 매년 1만4000명∼2만명의 고용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국내에서 향후 5년간 연간 25조원씩 2030년까지 125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향후 5년간 100조원을 국내에 투자할 예정"이라며 "이 가운데 60%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과 확장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