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써밋 2025에서 AI 혁신의 중심과 SKT AI 인프라의 NOW&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SK텔레콤

SK텔레콤은 고객신뢰 회복과 인공지능(AI) 사업 성과 창출을 목표로 MNO(통신)와 AI 두 축의 CIC(사내회사) 중심으로 조직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13일 밝혔다.

MNO CIC는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두고 관련 기능과 역량을 통합한다. 마케팅은 상품·서비스·영업 중심으로 재편해 통신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엔터프라이즈(B2B) 사업은 기술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솔루션 경쟁력을 강화한다.

네트워크 조직은 AT·DT(첨단기술·디지털전환) 실행력을 높여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한다. AI CIC는 핵심사업과 기술 역량을 결집해 실질적인 사업 성과 창출에 나선다.

AI CIC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한 B2C AI, 산업용 AI와 데이터 플랫폼·AI 클라우드 등 B2B AI, 메시징·인증·결제 사업을 담당하는 디지털플랫폼사업, 데이터센터(AI DC)로 재편된다.

기술 영역은 플랫폼과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는 플랫폼 조직,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는 AI모델 조직으로 나눠 AI 기술 경쟁력 확보에 집중한다.

양대 CIC를 지원하는 스태프 조직은 현업 밀착형 전문가 조직으로 개편된다.

통합보안센터는 인력 확충을 통해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대외협력과 홍보 기능을 통합한 커뮤니케이션 센터를 신설한다.

경영진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GC센터를 신설하고, CFO 역할에 전략 기능을 통합한 코퍼릿 센터를 운영한다.

임원 인사는 책임경영 중심으로 진행해 실행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 11명을 발탁했다.

SK텔레콤은 "임원의 실질적 책임과 역할 강화를 위해 규모를 강소화하고 향후 경영 환경과 전략 방향에 따른 수시 인사를 통해 전사적인 조직 유연성도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CIC 체제는 MNO와 AI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의 업무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신뢰 회복과 AI 사업 실질적 성과 창출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머니(Safe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